네이버 “5G 클라우드 로봇으로 스마트 건물 대중화”

네이버 “5G 클라우드 로봇으로 스마트 건물 대중화”

윤연정 기자
입력 2022-06-08 17:54
수정 2022-06-09 01:5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ARC·5G망 제2사옥에 적용
수백대 로봇 주행 경로 제어
임직원에게 택배·커피 배달
“첨단 기술 내년 상용화할 것”

이미지 확대
네이버 신사옥 ‘1784’에서 잡일을 도맡아 하는 로봇 ‘루키’로부터 한 직원이 택배를 받고 있다. 네이버 제공
네이버 신사옥 ‘1784’에서 잡일을 도맡아 하는 로봇 ‘루키’로부터 한 직원이 택배를 받고 있다.
네이버 제공
인공지능(AI) 로봇이 사무실 안을 돌아다니며 택배와 식음료를 전달한다. 나른한 오후 잠을 깨기 위해 최적화된 온도와 조명 아래 진행되는 회의실에서는 신입 대신 AI가 자동으로 회의록을 작성해 준다. 현재 경기 성남 분당에 있는 네이버 제2사옥 ‘1784’의 풍경이다.
이미지 확대
석상옥 대표 연합뉴스
석상옥 대표
연합뉴스
이미지 확대
박원기 대표
박원기 대표
앞으로 다른 일반 회사 건물에서도 온갖 잡일을 도맡아 하는 자율주행 배달로봇 ‘루키’와 수고한 루키를 닦아 주는 양팔로봇 ‘앰비덱스’를 만나 볼 수 있게 된다. 네이버랩스와 네이버클라우드는 8일 간담회를 열고 5세대(5G) 특화망과 클라우드 로봇 시스템 ‘ARC’(아크, AI·로봇·클라우드) 등의 첨단 기술을 1784에 전면 적용하고 내년에는 이를 상용화해 스마트 건물을 대중화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기존 건물이 로봇 친화적 미래형 공간으로 탈바꿈할 수 있도록 플랫폼을 구축해 주는 기업 간 거래(B2B) 사업에 본격 나서는 것이다. 석상옥 네이버랩스 대표는 “네이버의 미래 서비스는 기존 PC와 모바일을 넘어 생활 공간 자체에서 이뤄질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했다”며 “앞으로 공간은 건물 그 이상의 의미를 가질 것이다. 그리고 그 중심에는 소프트웨어가 있다”고 말했다.

이미 1784와 세종에 완공될 예정인 ‘각 세종’ 신규 데이터센터에서는 자율주행 로봇·버스와 얼굴 인식을 통한 시설 이용이 가능한 ‘클로바 페이스사인’, 자동 회의록 작성 및 공유를 돕는 ‘클로바노트’, ‘네이버웍스’ 애플리케이션(앱)을 통한 온도, 조명, 환기 조절 및 식음료 결제 등 다양한 실험이 진행되고 있다.

네이버클라우드는 지난해 말 이동통신 특화망인 ‘이음 5G’ 서비스를 국내 첫 사업자로 등록했다. 이음 5G는 이동통신 사업자가 아닌 일반 기업에서 직접 5G망을 구축할 수 있도록 5G 주파수(4.7㎓·28㎓)를 활용하는 통신망으로 네이버 아크 시스템을 위해 꼭 필요하다. 이음 5G에 연결돼 있는 아크 시스템은 로봇 본체에 두뇌 역할을 하는 중앙처리장치(CPU)를 심지 않고 AI·클라우드를 실시간으로 연결해 로봇을 관제한다. 이를 통해 수백대에 달하는 로봇이 정보를 막힘없이 동시에 주고받으며 자율주행 경로를 실시간 제어할 수 있다.

이 밖에도 박원기 네이버클라우드 대표는 “의료, 공항, 물류 등의 다양한 영역에서도 5G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한 혁신적인 서비스 창출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2022-06-09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