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가요금제 결국 시늉만…

저가요금제 결국 시늉만…

이재연 기자
이재연 기자
입력 2018-03-14 22:40
수정 2018-03-14 23:4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통신3사 요금개편안 마무리

‘막차’ KT 저가형 내놨지만
고가요금제 위주 소수 혜택
고객 “실질적 저가형 나와야”

KT가 이동통신요금 개편에 가세했다. 통신 3사 모두 정부의 ‘보편요금제’ 도입 추진에 맞서 요금제 개편을 일단락한 모양새이지만 정작 가장 핵심인 저가요금제는 손보는 시늉에 그치거나 아예 손을 내지 않아 “실질적인 저가형이 나와야 한다”는 요구가 거세다.
KT가 14일 발표한 요금제 개편안에 따르면 새로 출시되는 ‘롱텀에볼루션(LTE) 데이터 선택 요금제’는 약정 없이도 휴대폰을 산 소비자가 가입할 수 있다. 32.8요금제(월 3만 2800원)는 한 달 데이터 제공량이 기존 300MB에서 3.3배 늘어난 1GB이다. 38.3요금제(월 3만 8300원)는 2.5배 많아진 2.5GB를 준다. 4만원대 이상 요금제에서는 데이터 제공량을 두 배로 늘렸다. 음성과 문자는 모두 무제한이다. 월 최소 5500원의 요금 할인 효과가 있다는 게 KT의 설명이다.

이 중 3만 2000원대 요금제가 보편요금제에 가장 근접한 저가형 상품이라는 평가다. 보편요금제는 월 2만원대에서 데이터 1GB 이상, 음성 통화 200분 이상을 제공하는 구조로 정부가 도입을 밀어붙이고 있다.

요금제 개편에 머뭇거리던 KT까지 가세하면서 통신 3사는 본격적인 할인 경쟁에 돌입했다. 앞서 LG유플러스는 속도 제한을 없앤 8만 8000원짜리 상품(속도·용량 걱정 없는 데이터 요금제)을 내놓았다. SK텔레콤은 선택약정 위약금을 전면 유예해 주고 무약정 고객도 요금 할인을 약속했다.

로밍 요금제 인하도 경쟁이 붙었다. SK텔레콤이 먼저 발표한 ‘초 단위 과금제’(요금 부과 기준을 현행 분에서 초로 세분화)를 KT도 도입하겠다고 이날 발표했다.

하지만 이런 개편이 고가 요금제 위주인 데다 약정 제도를 손보는 차원이어서 근본적인 가계 통신비 경감과는 거리가 멀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끊이지 않고 있다. 무약정 이용자는 전체 가입자의 10%도 안 된다. 소수의 혜택을 손질하면서 전체 요금제를 뜯어고치는 것처럼 생색을 내고 있다는 게 소비자들의 불만이다. 그나마 무약정 고객에게는 ‘25% 요금 할인’조차 적용되지 않는다. 익명을 요구한 업계 관계자는 “곁다리 할인책으로 고객을 묶어 두는 록인 효과를 노리고 동시에 정부의 보편요금제 압력에 대응하려는 시도”라고 해석했다.

이런 이유로 추가적인 저가요금 대책이 나와야 한다는 지적이 잇따른다. 시선은 국내 이동통신 가입자의 절반을 가진 SK텔레콤으로 쏠린다. 박정호 SK텔레콤 사장은 지난달 “혁신적인 요금제를 내놓겠다”고 예고했지만 아직 후속 조치는 따르지 않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관계자는 “실질적인 인하로 이어지지 않는다면 보편요금제 필요성은 여전하다”고 말했다. 도입을 강행하겠다는 얘기다.

이재연 기자 oscal@seoul.co.kr
2018-03-15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