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주 ‘파크빌리지’ 등 새 도전
VR기기 쓰고 실내·전경 확인실사 수준 CG로 비용 절감도

올림플래닛 제공
경기 파주시 탄현면 법흥리에 세워질 콘도미니엄 ‘파크빌리지’ 모델하우스에서 올림플래닛이 구현한 가상현실(VR) 속 실내 모습.
올림플래닛 제공
올림플래닛 제공

올림플래닛 제공
올림플래닛은 VR 전용기기 없이 입체적으로 단지 전경을 볼 수 있도록 모델하우스를 꾸몄다.
올림플래닛 제공
올림플래닛 제공
올림플래닛은 내년 경기 시흥에서 개장할 신세계 사이먼 프리미엄 아울렛 분양에서도 VR을 활용하기로 했다. 상점까지 진입로가 어떻게 나는지, 주변 매장과 어떻게 조화를 이룰지 등을 미리 VR로 경험한 뒤 입점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건축·건설산업 분양·홍보·마케팅의 도구로 VR이 각광받으며, 올림플래닛의 올해 9개월 동안의 매출은 이미 설립 첫해였던 지난해 전체 매출보다 4배 성장했다.
올림플래닛의 빠른 성장은 VR을 안 쓰고는 못 배길 시장 수요가 어디에 있는지 거듭 탐색한 결과 달성됐다. 생각해 보면 수천만~수억원의 돈을 들여 아파트 단지 모형을 만들어 모델하우스를 꾸몄다가 몇 달 만에 자재를 모두 폐기하는 것은 낭비다. 그럼에도 분양을 위해선 모형으로 꾸민 모델하우스가 관례였고, VR이란 기술적 대안이 없던 시절에 모델하우스의 낭비적 요인은 잘 헤아려지지 않았다.
올림플래닛 권재현 대표는 22일 “비용 절감뿐 아니라 건물이 지어진 이후를 직관적으로 볼 수 있는 게 VR의 장점”이라면서 “인생에서 매우 중요한 순간인 분양 계약에 나설 땐 꼼꼼하게 많은 것을 살펴보고 싶을 것이라고 생각해 게임 엔진기술을 통해 실사 수준에 가까운 컴퓨터그래픽(CG)을 실시간 상호작용이 가능한 결과물로 구현했다”고 했다. 권 대표는 이어 “총기사고 위험이 우려되는 예비군 사격훈련, 요트 구매 전 시승체험 등 VR을 당장 활용할 곳이 많다”면서 “기존 시장의 혁신과 변화의 도구로 VR 기술을 적극 활용해 신산업을 만들어 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역으로 기존 방식을 고수하려는 관성, 오래된 기업 특유의 관료주의 문화는 수많은 혁신 기술이 쉽게 일상에 자리잡지 못하게 하는 이유가 된다고 권 대표는 진단했다. 여러 VR 프로젝트를 들고 대기업의 문을 두드렸을 때 많은 곳에서 결제라인에 오를수록 ‘왜 기존과 다르게 해야 하느냐’는 비판 속에서 프로젝트가 축소되는 경험을 거치며 깨달은 바다. 권 대표는 “그래도 조직마다 새로운 혁신에 도전하려는 ‘괴짜’들이 몇 명씩 있었고, 이들과 의기투합해 세상에 없던 솔루션을 시도하고 있다”고 웃었다.
‘조직이 혁신을 죽일 수 있다’는 생각 때문에 권 대표는 혁신이 가능한 조직을 만드는 데에도 공을 들이고 있다. 올림플래닛은 올림이란 회사의 자회사 형태인데, 올림의 또 다른 자회사로 디투에이치가 있다. 사업이 안정되면 올림 아래에 다양한 분야의 자회사를 더 둘 계획이다. 권 대표는 “벤처들끼리 뭉쳐 세를 키우고 서로 협력하며 단단하게 성장할 필요가 있다”고 단언했다. ‘벤처연합’이라는 새 비즈니스모델로, 기존 생태계에 종속되는 게 아니라 새로운 기업 생태계를 찾아 나가는 데 방점이 찍힌 설명이다.
홍희경 기자 saloo@seoul.co.kr
2016-09-23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