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델하우스, 가상현실과 만나다

모델하우스, 가상현실과 만나다

홍희경 기자
홍희경 기자
입력 2016-09-22 22:48
수정 2016-09-22 23:1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파주 ‘파크빌리지’ 등 새 도전

VR기기 쓰고 실내·전경 확인
실사 수준 CG로 비용 절감도


이미지 확대
경기 파주시 탄현면 법흥리에 세워질 콘도미니엄 ‘파크빌리지’ 모델하우스에서 올림플래닛이 구현한 가상현실(VR) 속 실내 모습.  올림플래닛 제공
경기 파주시 탄현면 법흥리에 세워질 콘도미니엄 ‘파크빌리지’ 모델하우스에서 올림플래닛이 구현한 가상현실(VR) 속 실내 모습.
올림플래닛 제공
이미지 확대
올림플래닛은 VR 전용기기 없이 입체적으로 단지 전경을 볼 수 있도록 모델하우스를 꾸몄다. 올림플래닛 제공
올림플래닛은 VR 전용기기 없이 입체적으로 단지 전경을 볼 수 있도록 모델하우스를 꾸몄다.
올림플래닛 제공
투자 이민 외국인을 겨냥해 경기 파주시 탄현면 법흥리에 세워질 콘도미니엄 ‘파크빌리지’ 모델하우스엔 스타트업 올림플래닛이 구축한 가상현실(VR) 기기가 설치됐다. 지난 6월부터 두 달여 동안 운영된 모델하우스를 찾은 중국인들은 파크빌리지 전경부터 실내까지 빠짐없이 비추는 VR에 빠졌다. 전용기기 없이 다양한 각도에서 파크빌리지 입지를 확인할 수 있었고, VR 전용기기를 쓴 뒤엔 마치 실제 집에 들어온 것 같은 몰입감을 느끼며 집안 곳곳을 머릿속에 그릴 수 있었다.

올림플래닛은 내년 경기 시흥에서 개장할 신세계 사이먼 프리미엄 아울렛 분양에서도 VR을 활용하기로 했다. 상점까지 진입로가 어떻게 나는지, 주변 매장과 어떻게 조화를 이룰지 등을 미리 VR로 경험한 뒤 입점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건축·건설산업 분양·홍보·마케팅의 도구로 VR이 각광받으며, 올림플래닛의 올해 9개월 동안의 매출은 이미 설립 첫해였던 지난해 전체 매출보다 4배 성장했다.

올림플래닛의 빠른 성장은 VR을 안 쓰고는 못 배길 시장 수요가 어디에 있는지 거듭 탐색한 결과 달성됐다. 생각해 보면 수천만~수억원의 돈을 들여 아파트 단지 모형을 만들어 모델하우스를 꾸몄다가 몇 달 만에 자재를 모두 폐기하는 것은 낭비다. 그럼에도 분양을 위해선 모형으로 꾸민 모델하우스가 관례였고, VR이란 기술적 대안이 없던 시절에 모델하우스의 낭비적 요인은 잘 헤아려지지 않았다.

올림플래닛 권재현 대표는 22일 “비용 절감뿐 아니라 건물이 지어진 이후를 직관적으로 볼 수 있는 게 VR의 장점”이라면서 “인생에서 매우 중요한 순간인 분양 계약에 나설 땐 꼼꼼하게 많은 것을 살펴보고 싶을 것이라고 생각해 게임 엔진기술을 통해 실사 수준에 가까운 컴퓨터그래픽(CG)을 실시간 상호작용이 가능한 결과물로 구현했다”고 했다. 권 대표는 이어 “총기사고 위험이 우려되는 예비군 사격훈련, 요트 구매 전 시승체험 등 VR을 당장 활용할 곳이 많다”면서 “기존 시장의 혁신과 변화의 도구로 VR 기술을 적극 활용해 신산업을 만들어 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역으로 기존 방식을 고수하려는 관성, 오래된 기업 특유의 관료주의 문화는 수많은 혁신 기술이 쉽게 일상에 자리잡지 못하게 하는 이유가 된다고 권 대표는 진단했다. 여러 VR 프로젝트를 들고 대기업의 문을 두드렸을 때 많은 곳에서 결제라인에 오를수록 ‘왜 기존과 다르게 해야 하느냐’는 비판 속에서 프로젝트가 축소되는 경험을 거치며 깨달은 바다. 권 대표는 “그래도 조직마다 새로운 혁신에 도전하려는 ‘괴짜’들이 몇 명씩 있었고, 이들과 의기투합해 세상에 없던 솔루션을 시도하고 있다”고 웃었다.

‘조직이 혁신을 죽일 수 있다’는 생각 때문에 권 대표는 혁신이 가능한 조직을 만드는 데에도 공을 들이고 있다. 올림플래닛은 올림이란 회사의 자회사 형태인데, 올림의 또 다른 자회사로 디투에이치가 있다. 사업이 안정되면 올림 아래에 다양한 분야의 자회사를 더 둘 계획이다. 권 대표는 “벤처들끼리 뭉쳐 세를 키우고 서로 협력하며 단단하게 성장할 필요가 있다”고 단언했다. ‘벤처연합’이라는 새 비즈니스모델로, 기존 생태계에 종속되는 게 아니라 새로운 기업 생태계를 찾아 나가는 데 방점이 찍힌 설명이다.

홍희경 기자 saloo@seoul.co.kr
2016-09-23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