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전 렌털·O2O·렌털폰…신사업 뛰어드는 알뜰폰

가전 렌털·O2O·렌털폰…신사업 뛰어드는 알뜰폰

김소라 기자
김소라 기자
입력 2016-06-29 18:10
수정 2016-06-30 00:0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시장 점유율 10.7% 성장 둔화

알뜰폰 업계가 신사업 발굴에 분주하다. 시장 점유율 10%를 돌파한 뒤 좀처럼 반등하지 못하면서 기존의 통신 사업을 넘어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찾는 게 급선무가 됐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0원 요금제’로 돌풍을 일으켰던 에넥스텔레콤은 올해 초 가전제품과 가구를 장기 렌털하는 ‘스마트렌털’ 사업에 뛰어들었다. 냉장고와 에어컨, 침대 등을 매월 렌털료를 납부하고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다. 에넥스텔레콤에 따르면 서비스 시작 5개월 만에 사이트 매출은 월 6억원을 넘어섰다. 세종텔레콤은 이달 초 중소마트 상인과 고객을 연결하는 모바일 플랫폼 ‘마트요’를 내놓았다. 마트 점주는 애플리케이션(앱)으로 주문을 관리하고 전단지를 발송할 수 있으며, 고객은 앱에서 상품을 주문할 수 있다.

특화 요금제와 렌털폰 등 서비스 강화 움직임도 활발하다. SK텔링크는 아시아나항공과 제휴해 항공 마일리지를 적립해 주는 요금제를, KT M모바일은 티머니 포인트를 적립해 주는 요금제를 출시했다. 프리텔레콤은 스마트폰 앱으로 통화와 데이터 이용량 등을 확인할 수 있는 모바일 고객센터를 열었다.

알뜰폰은 시장 점유율이 10.7%로 10%대를 돌파한 뒤 성장이 둔화됐다. 올해 초 ‘0원 요금제’ 등으로 반짝 주목받았지만 반등의 기회를 잡지 못했고, 지난해 적자폭이 511억원에 달할 정도로 수익성이 악화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더이상 저렴한 요금만으로 승부하기 어려워졌다”면서 “알뜰폰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사물인터넷(IoT), 드론 등 신산업과 연계한 데이터 서비스 등 새로운 사업 발굴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김소라 기자 sora@seoul.co.kr

2016-06-30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