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통3사 VoLTE 연동안돼 ‘반쪽 서비스’

이통3사 VoLTE 연동안돼 ‘반쪽 서비스’

입력 2012-10-08 00:00
수정 2012-10-08 00:4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SKT·LG유플러스 이어 KT서 상용서비스 개시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에 이어 KT도 8일 차세대 음성통화 방식인 음성 롱텀에볼루션(VoLTE) 서비스를 시작한다.

이미지 확대
KT의 가세로 이동통신 3사는 올 4분기 본격적인 VoLTE 경쟁을 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통사 간 서비스 연동이 되지 않고 같은 이통사라도 서비스에 가입한 고객끼리만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반쪽’에 그친다는 지적도 있다.

KT는 지난 7월부터 시범서비스를 해온 VoLTE를 상용서비스로 전환한다고 7일 밝혔다. VoLTE는 3G 망이 아닌 LTE 망으로 음성통화를 연결해 주는 서비스다. 3G 통화보다 2.2배 넓은 음성 대역을 활용해 생생한 음성통화가 가능하고 통화연결 시간도 대폭 줄어든다. 영상통화로의 전환이 자유롭고 3G에 비해 12배 선명한 화질을 제공하는 게 특징이다.

●영상전화로 전환 자유로워

KT의 VoLTE 서비스는 기본요금 6만 5000원 이상인 LTE 요금제 가입자에게 VoLTE 음성통화 50시간, 영상통화 30시간을 사용기한 없이 제공한다. 또 요금제에 따라 연말까지 월 30~100분간 VoLTE 음성통화를 무료로 제공할 예정이다.

●VoLTE요금제 인가·승인 못받아

하지만 VoLTE 대중화 시대를 열기 위해서는 해결해야 할 과제들이 많다.

이통사 간 연동 논의는 아직 ‘걸음마’ 단계다. 이통 3사는 지난 8월 말 방송통신위원회 주재로 VoLTE 연동 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협의체를 구성했지만 기초적인 논의에 머물러 있다. 이통 3사가 성급하게 VoLTE 서비스를 상용화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

이통사들이 VoLTE 서비스를 연동하기 위해서는 번호 확인이나 위치정보 등 시스템을 연동하는 방식을 새로 정해야 하고 이후 상호접속 테스트도 거쳐야 한다. 따라서 최종협의를 거쳐 이통사 간 연동이 이뤄지기까지는 짧게는 6개월, 길게는 1년가량 걸릴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VoLTE 요금제 논의도 마무리돼야 한다. 현재 이통 3사는 방통위로부터 요금 인가·승인을 받지 못해 프로모션 혹은 부가서비스 형태로 VoLTE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한 이통사 관계자는 “VoLTE 요금제는 방통위와 협의 중”이라면서 “진정한 VoLTE 서비스를 제공하려면 전국적으로 촘촘하고 안정적인 망 구축이 우선돼야 한다.”고 말했다.

홍혜정기자 jukebox@seoul.co.kr

2012-10-08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