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면과 튀김 동시에 조리하는 협동로봇 개발한다’…두산로보틱스, MS와 MOU

‘라면과 튀김 동시에 조리하는 협동로봇 개발한다’…두산로보틱스, MS와 MOU

이기철 기자
이기철 기자
입력 2023-08-24 08:32
수정 2023-08-24 08:3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협동로봇 위한 ‘GPT 기반 로봇 컨트롤 시스템 개발’ 나서
소프트웨어 역량 강화로 협동로봇 효율성·활용성 제고

이미지 확대
지난 4월 두산로보틱스가 출시한 F&B 전용 협동로봇 E시리즈. 두산로보틱스 제공
지난 4월 두산로보틱스가 출시한 F&B 전용 협동로봇 E시리즈. 두산로보틱스 제공
두산로보틱스가 소프트웨어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인공지능(AI) 기반의 GPT를 활용한 협동로봇 솔루션 개발에 나선다. 두산로보틱스는 마이크로소프트(MS), 두산디지털이노베이션과 마이크로소프트의 애저 오픈AI 서비스를 활용한 ‘GPT 기반 로봇 컨트롤 시스템 개발’을 위해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4일 밝혔다.

두산로보틱스는 GPT를 협동로봇에 적용해 인간의 개입없이 스스로 오류를 수정하고, 임무를 수행하도록 설계할 계획이다. 이 솔루션이 개발되면 협동로봇 사용자는 프로그래밍 시간을 단축함으로써 작업의 효율성과 활용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예컨대 라면과 튀김을 동시에 주문했을 때, 기존에는 각각에 특화된 협동로봇이 별도로 작동하거나 라면을 조리한 후 튀김을 조리하는 순차적 방식이었다. 두 종류 이상의 조리를 동시에 수행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세부 동작뿐만 아니라 동작 순서도 여러 경우의 수를 고려해 사람이 직접 프로그래밍 해야하기 때문에 시간도 오래 걸리고 기술적인 구현도 쉽지 않았다.

이번에 개발할 GPT 기반 협동로봇 솔루션은 각 조리의 세부 동작만 프로그래밍해 학습시켜 두면 두 종류 이상의 조리를 동시에 진행하더라도 최적의 동작 순서를 스스로 배치하고 실행함으로써 프로그래밍에 소요되는 시간과 시행착오를 최소화할 수 있다. 그 결과 음성 혹은 텍스트로 ‘라면과 튀김을 조리해 줘’라고 주문하면 협동로봇이 조리시간과 순서를 고려한 최적의 동작을 구성해 조리하고, 사용자에게 음식을 제공하게 된다고 회사 측이 설명했다.

또 이 솔루션은 사람이 프로그래밍해 학습시켰던 데이터베이스를 축적하고, 활용하기 때문에 메뉴가 변경돼도 다시 처음부터 프로그래밍할 필요가 없다.

류정훈 두산로보틱스 대표는 “협동로봇에게 복잡하고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게 하면서도, 프로그래밍 시간을 최소화하는 것이 이번 GPT 기반 협동로봇 솔루션의 핵심”이라면서 “이 솔루션을 하반기 출시 예정인 소프트웨어 플랫폼 ‘다트스위트’에 적용하면 협동로봇의 활용성과 사용 편의성이 한층 더 개선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두산로보틱스는 GPT기반 협동로봇 솔루션을 연내 시범적으로 식음료(F&B) 분야에 적용한 다음 제조 분야로 확대 적용하는 방안을 검토할 계획이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