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자산 33억원… 1% 부자의 조건

순자산 33억원… 1% 부자의 조건

이영준 기자
이영준 기자
입력 2023-03-15 23:53
수정 2023-03-16 07:2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돈다발
돈다발
빚을 뺀 순자산이 적어도 33억원은 있어야 ‘상위 1%’ 부자 대열에 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자산이 순자산의 80%를 차지할 정도로 상위 1% 대부분 ‘집 부자’였다. 남다른 자산운용 비법은 ‘주식 등 직접투자’였고, ‘재산소득’(임대·이자·배당) 격차는 17배나 됐다. 결국 돈이 돈을 번다는 의미로, 자산 양극화 현상이 심화될 수밖에 없음을 시사한다.
이미지 확대
●부채 포함 평균 자산 54억… 부동산 비중 81%

15일 통계청의 2022년 가계금융복지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순자산 기준 상위 1% 가구의 기준선은 32억 7920만원이었다. 2021년 29억원에서 3억 7920만원 올라갔다. 순자산 상위 1%의 부채를 포함한 평균 자산은 53억 6882만원이었다. 이 가운데 부동산 자산이 43억 7249만원으로 전체 자산의 81.4%를 차지했다. 전체 가구의 평균 부동산 자산 비중인 73.7%보다 7.7% 포인트 높다. 재력가 상당수가 부동산 투자로 자산을 늘렸다는 의미다. 상위 1% 가구의 금융 자산은 9억 91만원으로 16.8%를 차지했다. 이 가운데 84.8%인 7억 6376만원이 저축액이었다. 부채는 평균 5억 1666만원으로 집계됐다.

●금융자산 투자 예금 선호… 평균 연소득 2.1억

여유 자금을 운용하는 방법으로 상위 1% 가구의 60.3%가 ‘저축과 금융자산 투자’를 꼽았다. 이는 전체 가구 평균 47.9%보다 높은 응답률이다. 금융자산 투자 시 선호하는 방법은 은행예금 45.8%, 주식 등 직접투자 26.5% 순이었다. 전체 가구 평균은 은행예금 66.6%, 주식 등 직접투자 11.6%였다. 상위 1% 가구가 은행예금은 1.5배 덜 하고, 주식 등 직접투자는 2배 더 많이 한다는 뜻이다. 상위 1% 가구의 펀드 등 간접투자 비율도 8.6%로 전체 가구 1.7%보다 5배가량 높았다.

상위 1% 가구의 평균 연소득은 2억 1632만원으로 전체 가구 평균 6414만원의 3.4배 수준이었다. 근로소득이 9328만원, 사업소득이 3985만원, 재산소득이 7247만원으로, 전체 가구 평균과 비교해 근로소득(4125만원)은 2.3배, 사업소득(1160만원)은 3.4배, 재산소득(426만원)은 17배 차이를 보였다.

2023-03-16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