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 있는 서울 가구 절반 이상이 공시가 3억 넘어

집 있는 서울 가구 절반 이상이 공시가 3억 넘어

신성은 기자
입력 2019-02-04 09:00
수정 2019-02-04 09:0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3억원 초과 주택보유 가구 비중 서초구 82% 1위…강북구는 25%

이미지 확대
서울 강남의 아파트 단지의 모습.
서울 강남의 아파트 단지의 모습.
2017년 부동산 가격 상승 영향으로 집 있는 서울 가구의 절반 이상이 공시가격 3억원 이상의 주택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4일 통계청에 따르면 2017년 주택을 소유한 서울 가구는 187만5천 가구로 이중 보유한 주택의 공시가격 총합이 3억원을 초과한 가구는 97만 가구(51.7%)였다.

공시가격의 시세반영률은 단독주택은 51.8%, 공동주택은 68.1%다. 이를 기준으로 공시가격 3억원을 시세로 환산하면 4억∼6억원 수준이다.

2017년 공시가격 3억원 초과 주택보유 가구 비중은 전년 47.9%에서 3.8%포인트 상승하면서 절반을 넘어섰다. 박근혜 정부 때부터 계속된 부동산 가격 상승 영향이다.

전국 가구 기준으로 3억원 초과 주택보유 가구 비중이 23.3%라는 점에 비춰보면 서울이 두배 이상 더 높다.

서울 자치구별로 보면 지역별 격차가 뚜렷했다.

서초구가 82.0%로 가장 높았고 강남구(81.8%), 송파구(71.7%), 성동구(70.3%) 등이 뒤를 이었다.

강북구는 25.2%로 서울 자치구 중 가장 비중이 작았다. 전국 평균(23.3%)보다는 높았지만, 서초·강남구 등의 3분의 1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금천구(28.0%), 도봉구(29.6%) 등도 30%를 밑돈 것으로 분석됐다.

주택 기준으로 보면 서울 가구가 소유한 주택 267만7천호 중 공시가 3억원 초과 주택은 173만3천호로 전체의 64.7%를 차지했다. 비중이 전년(61.5%)보다 3.2%포인트 상승한 것이다.

공시가 3억원 초과 주택 비중은 강남구가 89.4%로 가장 높았고 서초구(89.1%), 송파구(82.5%) 등이 뒤를 이었다.

반면 강북구(38.2%), 금천구(42.5%), 도봉구(43.3%) 등은 3억원 초과 주택 비중이 상대적으로 작았다.

┌────┬────────────────┬───────────────┐

│ │ 2017 │ 2016 │

│ ├─────┬──────┬───┼─────┬─────┬───┤

│ │ 주택보유 │ 3억 초과 │ 비중 │주택보유가│ 3억 초과 │ 비중 │

│ │ 가구(A) │주택 보유(B)│(B/A·│ 구(A) │주택 보유(│(B/A·│

│ │ │ │ %) │ │ B) │ %) │

├────┼─────┼──────┼───┼─────┼─────┼───┤

│ 전국 │11,000,007│ 2,557,645 │ 23.3 │10,743,492│2,314,766 │ 21.5 │

├────┼─────┼──────┼───┼─────┼─────┼───┤

│ 서울시 │1,875,189 │ 970,037 │ 51.7 │1,864,059 │ 893,582 │ 47.9 │

├────┼─────┼──────┼───┼─────┼─────┼───┤

│ 서초구 │ 83,436 │ 68,410 │ 82.0 │ 84,396 │ 68,092 │ 80.7 │

├────┼─────┼──────┼───┼─────┼─────┼───┤

│ 강남구 │ 100,798 │ 82,485 │ 81.8 │ 101,310 │ 81,356 │ 80.3 │

├────┼─────┼──────┼───┼─────┼─────┼───┤

│ 강북구 │ 63,306 │ 15,935 │ 25.2 │ 62,399 │ 14,202 │ 22.8 │

├────┼─────┼──────┼───┼─────┼─────┼───┤

│ 도봉구 │ 77,312 │ 22,911 │ 29.6 │ 76,831 │ 20,207 │ 26.3 │

└────┴─────┴──────┴───┴─────┴─────┴───┘

※ 자료제공 : 통계청

심미경 서울시의원, 의원 연구단체 연구용역과제 ‘한일 양국의 산업정책 변화와 전망’ 착수보고회 개최

심미경 서울시의원(동대문2·국민의힘)이 지난 16일 서울시의회 의원회관에서 2025년 ‘소신과 신념의 정치철학 연구모임(대표 의원 심미경, 이하 연구모임)’의 연구용역 착수보고회를 개최하였다. 보고회는 연구모임이 지난달 발주한 ‘한일 양국의 산업정책 변화와 전망–도쿄와 서울의 첨단산업 경제안보 전략을 중심으로’의 성공적인 과제 수행을 위해 연구모임 의원세미나를 겸해 추진됐다. 이창민 한일정책연구센터 센터장(책임연구원/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학대학 학장)은 연구용역과제의 핵심인 일본의 정책과 실행사례를 설명하면서 서울시에 적용 가능한 자치단체 정책모델을 제안하겠다는 구체적인 목표를 제시했다. 이 센터장은 일본의 다층적 경제 안보 전략에 대해 주목해야 한다며 ‘경제안전보장추진법’을 지목했다. “이 법이 중요 물자를 생산하는 기업들을 지정하고 정부가 개입하거나 보조금을 지급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면서 “라인야후 사태의 배경에는 경제안전보장추진법 상 전략 물자의 국경 간 이동이 문제가 될 수 있었기 때문”이라는 점도 강조했다. 이에 따라 한국 역시 이와 유사한 ‘경제안전보장법’의 필요성을 주장했다. “이러한 법적 기반이 있어야 중앙정부가 지자체 간의 과당 경쟁을
thumbnail - 심미경 서울시의원, 의원 연구단체 연구용역과제 ‘한일 양국의 산업정책 변화와 전망’ 착수보고회 개최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