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식품수입 28조원 ‘사상 최고’…최대 수입품은 쇠고기

작년 식품수입 28조원 ‘사상 최고’…최대 수입품은 쇠고기

신성은 기자
입력 2018-01-16 10:14
수정 2018-01-16 10:1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식약처, 수입식품 통계 발표

이미지 확대
15일 오후 서울시내 한 대형마트에서 한 직원이 미국산 쇠고기를 정리하고 있다. 지난해 미국산 쇠고기 수입액이 통계 작성 이래 사상 처음으로 10억 달러를 돌파했다. 14일 관세청 수출입 무역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11월 기준 미국산 쇠고기 수입액은 10억9천601만 달러(약 1조1천663억 원 상당)였다.  연합뉴스
15일 오후 서울시내 한 대형마트에서 한 직원이 미국산 쇠고기를 정리하고 있다. 지난해 미국산 쇠고기 수입액이 통계 작성 이래 사상 처음으로 10억 달러를 돌파했다. 14일 관세청 수출입 무역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11월 기준 미국산 쇠고기 수입액은 10억9천601만 달러(약 1조1천663억 원 상당)였다.
연합뉴스
지난해 식품수입액이 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는 미국에서 식품을 가장 많이 수입했고, 수입액 1위 품목은 쇠고기였다.

16일 식품의약품안전처의 ‘2017년 수입식품 동향’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식품수입액은 250억8천772만 달러(28조4천억원)로 전년도(234억3천759만 달러)보다 7.0% 증가했다.

수입식품 중량은 1천829만3천759t, 건수로는 67만2천278건이었고, 총 168개 국가로부터 수입했다.

수입액은 미국이 54억3천332만 달러로 가장 컸고, 중국(41억9천887만 달러), 호주(25억7천248만 달러), 베트남(11억8천569만 달러), 러시아(9억4천170만 달러) 순이었다.

미국에서는 쇠고기와 돼지고기, 중국에서는 스테인리스·폴리프로필렌 재질의 기구와 쌀, 호주에서는 쇠고기와 정제·가공을 거쳐야 하는 원당 등 식품원료, 베트남에서는 냉동새우와 냉동주꾸미, 러시아에서는 냉동명태와 옥수수가 주로 수입됐다.

품목별 수입액을 보면, 쇠고기가 24억6천378만 달러로 가장 많았고, 돼지고기(16억3천765만 달러), 정제·가공용 식품원료(15억6천306만 달러), 대두(6억1천222만 달러), 밀(5억4천979만 달러) 순이었다.

수입신고 건수는 중국 17만5천891건, 미국 9만2천563건, 일본 4만6천653건 순이었다. 중국산 제품의 신고가 많은 이유는 국내에서 많이 소비하는 배추김치와 함께 스테인리스 제품, 폴리프로필렌 제품, 도자기 등 다양한 기구류가 수입됐기 때문이라고 식약처는 설명했다.

지난해 수입식품 부적합 건수는 전체 수입신고 중 1천284건으로 부적합률은 0.19%였다.

부적합 품목으로는 가공식품(57.9%)이 가장 많았고, 기구류(15.0%), 건강기능식품(7.9%), 농·임산물(6.5%), 축산물(6.0%), 수산물(5.5%) 순이었다. 부적합 판정 제품은 수출국으로 반송되거나 다른 나라로의 반출 또는 폐기 조치됐다.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시의원, 고덕비즈밸리 펜스 조정 민원 해결…상가 주택지 개방감 확보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시의원(강동3, 국민의힘)이 지난 25일 강동구 고덕동 고덕비즈밸리 일원을 다시 방문해 지역 주민들과 함께 민생현장을 점검하고, 최근 마무리된 메시 펜스 높이 조정 결과를 확인했다. 고덕비즈밸리는 서울 강동구 고덕동 345번지 일원에 위치한 복합기능 도시지원시설지로, 총면적은 약 23만 4000㎡(약 7만평)에 이르며 유통판매, 자족기능, 상업시설 등으로 구성된 준주거 및 근린상업지역이다. SH공사가 시행 중인 이 사업은 2013년부터 2026년까지 추진되며, 현재 이케아 입점과 JYP 본사 건립 등으로 동남권 중심업무 및 유통거점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번 민원은 고덕비즈밸리로6길 인근 단독주택용지 주변에 높게 설치된 펜스가 개방감을 저해한다는 주민들의 지속적인 의견 제기에서 출발했다. 해당 지역은 고덕비즈밸리 근린공원 3호와 인접해 있어 공원과의 연계성 확보에 대한 지역주민의 요구도가 높았다. 이에 따라 박 의원은 3월 24일 민원 접수를 시작으로 4월 8일, 5월 28일까지 총 3차례에 걸쳐 현장을 직접 방문하고, SH공사 및 서울시의회 현장민원담당관, 강동구 푸른도시과의 협의회를 통해 현실적인 조정 방안을 논의해왔다. 논의 결
thumbnail -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시의원, 고덕비즈밸리 펜스 조정 민원 해결…상가 주택지 개방감 확보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