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금융硏 ‘2017 부자 보고서’
금융자산 10억 넘는 재력가1년 새 14.8% 늘어 24만명
부의 편중이 1년 사이 더 심해졌다는 보고서가 나왔다.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가 대한민국 부자들의 금융생활을 분석해 1일 내놓은 ‘2017 한국 부자보고서’ 내용이다.

부자들의 ‘부동산 사랑’도 여전했다. 대한민국 부자들이 보유한 부동산 규모는 개인당 평균 28억 6000만원이었다. 전체 가계 평균(2억 5000만원)보다 약 11배 많은 금액이다. “경기침체 지속 시 부동산을 처분(전부 또는 일부)하겠다”는 응답은 전체 중 20.2%에 그쳤다. ‘현 상태 유지’(39.4%), ‘전·월세 등 임대 형태 변화’(22.3%), ‘다른 고수익 부동산 투자’(12.3%) 등 부동산 투자를 지속하겠다는 응답이 많았다. 정부가 투기과열지구 지정 등 고강도 부동산 투기 방지대책을 예고하지만, 마이동풍인 셈이다.
유망한 투자용 부동산으로는 27.7%가 ‘재건축 아파트’를 꼽았다. 부자가 생각하는 부촌(富村)은 강남구 압구정동(47.4%), 용산구 한남동(21.9%), 강남구 청담동(21.2%), 강남구 대치동(19.1%), 서초구 반포동(10.1%) 등 순이었다. ‘현재 대비 5년 후 부촌’으로 반포동과 잠실동은 증가하고 청담동과 대치동, 성북동, 평창동 등 전통적 부촌의 비중은 감소했다.
“부(富)가 대물림된다”는 인식은 더 강해졌다. ‘자녀 세대는 과거에 비해 부모의 도움 없이 자수성가하기 힘들어졌다’는 응답은 84.8%였다. ‘부의 대물림’은 지난해 대비 11.8% 포인트 증가했다. 보유 자산을 자녀에게 상속 및 증여하겠다고 응답한 비율은 95.7%로 나왔다.
국내 부자들은 은퇴 후 ‘적정한 생활비’를 월평균 약 717만원, 연 8604만원으로 잡았다.
백민경 기자 white@seoul.co.kr
2017-08-02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