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누리꾼 31%, 주당 1회 이상 모바일 결제”

“한국 누리꾼 31%, 주당 1회 이상 모바일 결제”

입력 2016-12-09 09:17
수정 2016-12-09 09:1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칸타 TNS, 57개국 조사…중국·홍콩 이어 세계 3위

한국 인터넷 이용자 10명 중 3명은 일주일에 한 번 이상 모바일 결제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9일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칸타 TNS의 2016년 ‘커넥티드 라이프(Connected life)’ 보고서에 따르면 57개국의 인터넷 이용자 약 7만 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일주일에 적어도 한 번은 모바일 결제를 한다고 답한 비율이 한국은 31%로 조사 대상국 중 3위였다.

주당 1회 이상 모바일 결제를 하는 이용자 비율은 중국이 40%로 가장 높았고, 홍콩이 32%로 뒤를 이었다. 싱가포르와 브라질은 27%로 공동 4위를 기록했다.

모바일 결제 경험 비율을 지역별로 살펴보면 아시아태평양(APAC) 지역이 53%로 가장 많았다. 이어 라틴아메리카 46%, 유럽 35%, 북미 33%, 중동 및 아프리카 19% 순이었다.

칸타 TNS는 아시아의 모바일 결제 비율이 높은 이유로 전통적인 은행 시스템의 미비와 진보한 채팅 앱 문화를 꼽았다.

은행 시스템이 제대로 갖춰지지 못한 국가에서 위챗·라인 등 채팅 앱과 연계된 모바일 페이가 확산하면서 소비자들이 대안 수단으로 모바일 결제를 이용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한국의 모바일 결제 시장은 성장이 정체된 가운데 업체 간 경쟁이 더욱 치열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칸타 TNS 코리아가 올해 1∼10월 월간 사용자 비율을 분석한 결과 모바일 ISP가 20.3%에서 25.3%로 5.0%포인트 상승했고, 삼성페이도 10대 사용자가 늘며 3.2%에서 8.1%로 4.9%포인트 늘었다.

반면 유통과 모바일 플랫폼에 각각 강점이 있는 SSG페이(7.4%→6.7%)와 카카오페이(5.2%→6.4%)는 뚜렷한 상승세를 보이지 않았다.

칸타 TNS 코리아 박정훈 수석 연구원은 “국내는 신용카드 인프라가 잘 갖춰져 있어 굳이 모바일 결제를 이용할 필요성을 못 느끼는 사람들이 많다”며 “향후 금융사들이 어떤 플랫폼을 활용하느냐에 따라 시장이 좌우될 것”이라고 말했다. okko@yna.co.kr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