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시중금리 뒤따라 더 치솟을 듯
부채 옥죄기에 주택담보 금리도 인상10년 국채금리·코픽스 연속 상승세

옐런 의장은 이날 미국 상·하원 합동경제위원회 청문회에서 “기준금리 인상이 비교적 이른 시점에 이뤄질 수 있다”며 “금리를 너무 늦게 올리면 위험자산 선호 현상을 지나치게 부추길 수 있다”고 지적했다. 블룸버그통신 등 미국의 경제 전문 매체들은 트럼프의 당선과 무관하게 옐런 의장이 12월에 금리를 올리겠다는 의지를 강하게 내비쳤다고 풀이했다. 다음달 미국이 기준금리를 올리면 국내 시중금리는 더 치솟을 것으로 전망된다.
최근 시중은행의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줄줄이 오름세다. 정부의 가계부채 옥죄기와 은행 대출 영업 전략, 트럼프 당선 등이 겹치면서 시장 위험에 민감한 ‘고정금리형 주택담보대출’(5년 혼합형 상품 기준) 금리는 연 4%대 후반까지 치솟았다. KEB하나은행의 경우 해당 상품의 금리가 올 9월 말 2.75~4.45%에서 이달 18일 현재 3.41~4.73%로 한 달 반 새 0.66% 포인트나 올랐다. 같은 기간 우리은행 상품은 2.91~4.21%에서 3.28~4.58%로, KB국민은행은 2.82~4.12%에서 3.18~4.48%로 각각 올랐다.
국내 10년 만기 국채금리도 지난 9일 연 1.671%에서 18일 2.132%까지 뛰었다. 은행들이 주택담보대출의 기준금리로 활용하는 코픽스(자금조달비용지수) 역시 두 달 연속 상승세다. 지난 15일 공시된 10월 신규 취급액 코픽스는 1.41%로 전달보다 0.06% 포인트 상승했다.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전날 “금리 인상이 현실화되면 고금리 대출을 이용할 수밖에 없는 서민 고통이 커진다”고 우려했다.
은행권 일각에서는 볼멘소리도 나온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금융 당국이 가계대출을 늘리지 말라고 행정지도를 하고 있는데 (대출 억제에 따른 수익성 악화를 메우려면) 금리를 올리는 방법밖에 없다”면서 “금리도 올리지 말고 대출도 늘리지 말라고 하니 도대체 어쩌라는 것인지 모르겠다”고 털어놓았다. 주택담보인정비율(LTV), 총부채상환비율(DTI) 강화 등 근본적인 처방은 놔둔 채 정부가 은행들만 ‘찍어 누른다’는 불만이 나온다.
백민경 기자 white@seoul.co.kr
2016-11-19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