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KEB하나 총 3000억 넘어…금융당국 입주기업 지원 방침에 회수는커녕 추가 대출해 줄 판
개성공단 입주 기업에 1조원에 달하는 대출을 해 준 은행들이 속앓이를 하고 있다. 은행별로 최소 200억원에서 최대 2000억원대의 받을 돈이 남아 있지만 대부분 회수 가능성이 낮아 보여서다.
이 밖에 신한은행 962억원(40곳), KB국민은행 731억원(34곳), 산업은행 500억원(16곳), 수출입은행 259억원(4곳·남북협력기금 대출 제외), 농협 198억원(11곳)이다. 기타 지방은행 등을 합친 1금융권 대출 총액은 약 9000억원, 나머지 보험사와 저축은행 등의 대출 총액은 약 2000억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개성공단 폐쇄 피해가 채권은행으로 전이되는 양상이지만 정작 은행들은 채권 회수는커녕 추가 대출까지 해 줘야 할 처지다. 금융 당국은 금융권에 “개성공단 입주 기업에 대한 대출금 회수와 금리 인상 등을 자제하라”고 사실상 지시했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공장 가동이 장기간 멈추는 상황이 되면 대출금을 즉시 회수하는 게 정상이지만 지금은 반대로 가야만 하는 상황”이라면서 “우리(은행)만 살자고 할 수는 없지 않으냐”고 반문했다.
그나마 북한(개성)과 남한에 공장이 각각 있는 기업체 거래 은행은 사정이 좀 더 낫다. 남한 공장 영업을 통해 어느 정도 손해를 벌충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개성에만 공장이 있는 기업에 대출을 해 준 은행들은 속이 바짝바짝 타들어 가고 있다.
또 다른 시중은행 관계자는 “개성공단 대출은 떼이는 돈(부실 채권)이라는 시장의 시각 때문에 은행마다 대출 액수를 쉬쉬하는 상황”이라면서 “경제 논리대로만 대응할 수도 없어 속만 탄다”고 털어놓았다.
유영규 기자 whoami@seoul.co.kr
2016-02-17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