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학계 취업률, 인문계보다 24%P 높아
청년층의 고용 절벽이 현실화된 가운데 지난해 대졸자를 비롯한 고등교육기관 졸업자의 취업률이 국제통화기금(IMF) 구제금융 사태 직후인 1998년보다 더 낮았던 것으로 조사됐다.8일 종로학원하늘교육이 한국교육개발원의 ‘교육통계서비스’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전문대학, 대학교, 대학원 등 고등교육기관 졸업자의 취업률은 56.2%로 1998년의 58.3%보다 2.1% 포인트 낮았다. 이는 1986년의 53.3%, 2010년의 54.1%에 이어 역대 세 번째로 낮은 수치다. 지난해 통계청 발표 취업률(58.6%)과 차이가 나는 것은 졸업자 가운데 진학자와 군 입대자 등 취업 불가능자를 빼고 집계했기 때문이다.
지난해 계열별로는 순수 인문계열(42.1%)과 예체능계열(44.6%)의 취업률이 낮았다. 공학계열이 66.7%로 높았고, 사회계열은 56.6%로 조사됐다. 오종운 평가이사는 “통계청이 매년 내놓는 취업률 산출 기준과 예전 취업률 산출 기준을 맞추면 서로 비교가 가능하다”며 “예전 기준으로 취업률을 산출한 결과 지난해 취업난은 정부 통계보다 더 심각했다”고 설명했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15-04-09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