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GDP 감소 등 부정적 영향… 주력품인 스마트폰·車 등 심각
국내 제조업의 해외생산 비중 확대가 수출과 국내총생산(GDP)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과거 일본 제조업체들이 생산기지를 해외로 옮기면서 투자와 생산 등이 위축돼 ‘잃어버린 20년’을 겪었던 점을 떠오르게 한다.
한은은 해외생산 유형이 가공무역에서 독립채산형 현지법인으로 바뀌면서 수출에 부정적으로 작용한다고 지적했다. 가공무역은 국내 기업이 해외 가공업체에 원재료와 중간재 등을 제공해 물건을 만든 뒤 가공품을 국내로 들여오거나 제3국에 판매하는 방식이다.
국내 기업의 원재료 등이 해외로 나가기 때문에 수출 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반면 독립채산형 현지법인은 자재 구매 및 제품 생산, 판매 등을 모두 현지서 해결하기 때문에 이런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게다가 우리나라 가공무역의 대부분(2010년 기준 78.5%)을 차지하는 중국이 최근 들어 가공무역을 제한하면서 현지법인 설립이 더 늘어나는 추세다. 삼성전자가 지난 5월 중국 시안에 반도체 공장을 설립한 것이나 LG디스플레이가 지난달 광저우에 공장을 설립한 것은 그 예다.
정영택 한은 경제통계국장은 “현지 생산 증가는 상품수출 감소를 가져와 GDP를 축소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GDP 축소는 성장률도 제약하게 된다. 실제로 올해 3분기 수출은 1년 만에 전기 대비 감소세(2.6%)를 기록했다. 정 국장은 “대신, 해외법인에서 (국내 기업으로) 배당이 들어와 국민총소득(GNI)은 늘게 된다”며 “앞으로는 GDP보다 GNI가 더 중요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안미현 기자 hyun@seoul.co.kr
2014-10-27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