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국내에서 MP3 온라인 음원 판매를 시작할 계획이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8일 “삼성의 콘텐츠 스토어 ‘삼성 허브’ 내에 온라인 음원 판매 서비스 ‘삼성 뮤직’을 론칭할 계획”이라며 “서비스 시작 시기는 다음 달 1일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음악·비디오 스트리밍(실시간 재생) 업체인 엠스팟을 인수하는 등 음원 서비스를 준비해왔다.
삼성은 일부 해외 시장에서는 ‘삼성 뮤직 허브’라는 이름으로 같은 서비스를 해왔으나 국내에서는 저작권 문제가 복잡해 사업을 미뤄왔다. 애플도 같은 이유로 국내 시장에서는 아직 아이튠스 뮤직 스토어를 개설하지 않고 있다.
삼성이 음원 사업을 시작함에 따라 SK플래닛의 ‘멜론’, 네오위즈인터넷의 ‘벅스’, NHN의 ‘네이버 뮤직’ 등이 주류를 이뤘던 음원 서비스 시장에 큰 변화가 예상된다.
삼성은 자사 스마트폰에 ‘삼성 뮤직’을 기본 탑재해 내놓을 수 있어 다른 음원 서비스보다 유리한 상황이다.
삼성은 이미 삼성 허브가 탑재된 갤럭시S4를 중심으로 삼성 뮤직 서비스를 지원하고 이후 적용 단말기를 늘려나갈 계획이다.
최근에는 NHN에서 게임 사업을 담당했던 김규호 전 이사를 게임서비스팀장(전무)으로 영입하고 미국 스마트TV 게임사 모블을 인수하는 등 콘텐츠 부문 경쟁력 강화에 힘써왔다.
’삼성 뮤직’ 서비스 시작도 이와 같은 콘텐츠 경쟁력 강화 방침의 일환으로 해석된다.
국내 삼성 허브에 삼성 뮤직 서비스가 시작되면 기존의 ‘삼성 비디오’, ‘삼성 북스’, ‘삼성 게임’, ‘삼성 러닝’과 함께 5가지 허브 서비스가 모두 제공된다.
연합뉴스
삼성전자 관계자는 8일 “삼성의 콘텐츠 스토어 ‘삼성 허브’ 내에 온라인 음원 판매 서비스 ‘삼성 뮤직’을 론칭할 계획”이라며 “서비스 시작 시기는 다음 달 1일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음악·비디오 스트리밍(실시간 재생) 업체인 엠스팟을 인수하는 등 음원 서비스를 준비해왔다.
삼성은 일부 해외 시장에서는 ‘삼성 뮤직 허브’라는 이름으로 같은 서비스를 해왔으나 국내에서는 저작권 문제가 복잡해 사업을 미뤄왔다. 애플도 같은 이유로 국내 시장에서는 아직 아이튠스 뮤직 스토어를 개설하지 않고 있다.
삼성이 음원 사업을 시작함에 따라 SK플래닛의 ‘멜론’, 네오위즈인터넷의 ‘벅스’, NHN의 ‘네이버 뮤직’ 등이 주류를 이뤘던 음원 서비스 시장에 큰 변화가 예상된다.
삼성은 자사 스마트폰에 ‘삼성 뮤직’을 기본 탑재해 내놓을 수 있어 다른 음원 서비스보다 유리한 상황이다.
삼성은 이미 삼성 허브가 탑재된 갤럭시S4를 중심으로 삼성 뮤직 서비스를 지원하고 이후 적용 단말기를 늘려나갈 계획이다.
최근에는 NHN에서 게임 사업을 담당했던 김규호 전 이사를 게임서비스팀장(전무)으로 영입하고 미국 스마트TV 게임사 모블을 인수하는 등 콘텐츠 부문 경쟁력 강화에 힘써왔다.
’삼성 뮤직’ 서비스 시작도 이와 같은 콘텐츠 경쟁력 강화 방침의 일환으로 해석된다.
국내 삼성 허브에 삼성 뮤직 서비스가 시작되면 기존의 ‘삼성 비디오’, ‘삼성 북스’, ‘삼성 게임’, ‘삼성 러닝’과 함께 5가지 허브 서비스가 모두 제공된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