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F 덫에 걸린 건설사들
지난해 매출액 8374억원과 영업이익 201억원, 시공능력 34위인 삼부토건은 도시개발 사업 하나에 발을 잘못 들였다가 법정관리행을 택했다. 최근 법정관리(기업회생절차)를 신청한 LIG건설이나 월드건설 등과 마찬가지로 프로젝트파이낸싱(PF)의 덫에 걸려 쓰러진 것이다.
국내 ‘건설업 면허 1호’인 삼부토건이 법정관리를 신청한 가운데 13일 서울 남창동 삼부토건 본사에 직원이 출근하고 있다. 삼부토건은 채권 금융회사들과 대출 연장을 두고 협상을 벌이고 있어 법정관리 철회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안주영기자 jya@seoul.co.kr
“삼부토건 회생의 문 열릴까”
국내 ‘건설업 면허 1호’인 삼부토건이 법정관리를 신청한 가운데 13일 서울 남창동 삼부토건 본사에 직원이 출근하고 있다. 삼부토건은 채권 금융회사들과 대출 연장을 두고 협상을 벌이고 있어 법정관리 철회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안주영기자 jya@seoul.co.kr
국내 ‘건설업 면허 1호’인 삼부토건이 법정관리를 신청한 가운데 13일 서울 남창동 삼부토건 본사에 직원이 출근하고 있다. 삼부토건은 채권 금융회사들과 대출 연장을 두고 협상을 벌이고 있어 법정관리 철회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안주영기자 jya@seoul.co.kr
삼부토건은 PF 대출 상환을 하루 앞둔 지난 12일 결국 법정관리신청을 선택했다. 부동산 경기 침체에 따른 사업지연과 수주 급감, 과다한 지급보증에 따른 재무구조 악화 등으로 결국 PF 대출금을 변제할 수 없을 지경에 내몰리자 어쩔 수 없는 선택을 하게 된 것이다. 여기에는 저축은행 사태 이후 만기가 도래하는 PF 자금에 대한 상환압박도 한몫했다.
삼부토건 관계자는 “부동산 경기가 좋을 때는 PF 대출로 막대한 이득을 얻을 수 있지만 갑작스러운 경기침체로 거액의 대출 연장에 따른 이자 부담이 너무 크다.”면서 “회사가 리스크 관리에 좀더 관심을 가졌어야 했는데….”라며 뒤늦은 후회를 했다. 결국 4270억원의 헌인마을 타운하우스 조성 사업이 분양시장 침체와 인허가 지연으로 5년째 미뤄지면서 건실했던 삼부토건을 무너뜨린 셈이다.
삼부토건에 앞서 지난달 법정관리를 신청한 LIG건설의 경우도 배경은 유사하다. 큰 프로젝트는 없었지만 PF에 1조원이 넘는 돈이 묶이면서 만기가 도래하는 대출금을 상환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법정관리 신청 이후 LIG건설을 퇴사한 한 임원은 “PF 대출금 만기 때마다 상환을 독촉받으면서 자칫 모그룹까지 위험해질 수 있다는 판단에 법정관리로 갈 수밖에 없었다.”고 말했다.
한준규기자 hihi@seoul.co.kr
2011-04-14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