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15일 국제 유가 상승에 따라 에너지를 절약하고자 한강교량 24곳 중 12곳에 설치된 경관조명을 끌 계획이라고 밝혔다.
불이 꺼지는 곳은 광진대교,잠실대교,잠실철교,동작대교,마포대교,행주대교,아차산대교,서호교,두모교,노량대교,천호대교,양화대교 등으로,소등 기간은 정해지지 않았다.
서울시는 올림픽대교,청담대교,영동대교,성수대교,동호대교,한남대교,반포대교,한강대교,원효대교,당산철교,성산대교,가양대교 등 관광객이 많이 찾는 12곳은 이전처럼 해가 진 뒤 15분부터 밤 11시까지 불을 켤 계획이다.
서울시는 이번 조치로 월간 약 12만㎾H의 전력 사용량을 절감하고,연간 2억원에 달하는 에너지 비용을 줄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국제유가가 배럴당 100달러에 육박하고 겨울철 에너지 사용량이 급증한 데 따라 경관조명 소등을 결정했다”며 “앞으로도 정부의 에너지 절약 정책에 적극 동참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불이 꺼지는 곳은 광진대교,잠실대교,잠실철교,동작대교,마포대교,행주대교,아차산대교,서호교,두모교,노량대교,천호대교,양화대교 등으로,소등 기간은 정해지지 않았다.
서울시는 올림픽대교,청담대교,영동대교,성수대교,동호대교,한남대교,반포대교,한강대교,원효대교,당산철교,성산대교,가양대교 등 관광객이 많이 찾는 12곳은 이전처럼 해가 진 뒤 15분부터 밤 11시까지 불을 켤 계획이다.
서울시는 이번 조치로 월간 약 12만㎾H의 전력 사용량을 절감하고,연간 2억원에 달하는 에너지 비용을 줄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국제유가가 배럴당 100달러에 육박하고 겨울철 에너지 사용량이 급증한 데 따라 경관조명 소등을 결정했다”며 “앞으로도 정부의 에너지 절약 정책에 적극 동참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