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수가격만 공시 법률적 문제 없어”
김승유 하나금융지주 회장은 12일 귀국 직후 기자회견을 갖고 논란이 된 연말 배당금 850원에 대해 “법률 검토를 거친 결과 인수가격만 공시해도 문제가 없다는 자문을 받았다.”면서 “이면계약이나 허위공시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김 회장은 지난 4일부터 뉴욕·런던 등을 돌며 투자자 유치를 하고 이날 오후 돌아왔다.
연합뉴스
12일 서울 을지로 하나은행 본점에서 열린 외환은행 인수 관련 기자회견에서 김승유 하나금융지주 회장이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며 미소짓고 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이면계약·허위공시 아니다”
논란이 된 연말 배당금에 대해 외환은행 노조는 하나금융이 론스타에 주당 850원의 확정수익을 추가로 보장해 실제 외환은행 인수 가격은 주당 1만 4250원이 아닌 1만 5100원으로 5조원에 육박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김 회장은 “배당금이 주당 850원을 밑돌 경우 차액을 보전받으면 총 인수 가격이 올라갈 수 있지만 공시상으로는 그런 조건을 적시하지 않아도 된다.”면서 “올해 외환은행의 순이익 추세로 볼 때 (차액 보전은) 있다고 해도 크지 않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또 “해외 투자자들은 이 문제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또 김 회장은 “3월 말까지 지분을 인수하지 못하면 주가 상승을 감안해 매월 주당 100원씩 추가 금액을 주도록 돼 있다.”고 덧붙였다. 김 회장은 배당금 수준에 대해 “협상 당시 론스타 측에서 현대건설 매각 이익 4000억원 등을 합쳐 올해 순이익이 1조 5000억원은 될 것이라고 얘기했고, 배당 성향을 봐서 주당 1100원(중간배당 235원 포함) 정도면 감당할 수 있다고 판단했다.”고 덧붙였다.
자금 조달에 대해 김 회장은 “인수대금의 절반은 갖고 있는 자금으로 충당하고 나머지 25%는 회사채로, 25%는 신규 투자자 대상인 제3자 배정 형태의 보통주 혹은 전환우선주 발행으로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하나금융의 외환은행 지분 51.02%, 인수 자금이 4조 6888억원인 만큼 보통주와 전환우선주 발행 규모는 1조 2000억원 정도로 추산된다.
●“해외 투자자들 반응 좋아”
SI와 재무적투자자(FI) 유치에 대해서는 “해외 투자자들의 반응이 좋았다.”면서 “이달 말까지 국내외 투자자들로부터 투자의향서(LOI)를 받아 내년 1월 20일쯤이면 투자자들과 양해각서(MOU)를 교환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 회장은 “장기적인 파트너가 될 수 있는 SI, 장기적인 업무상 파트너가 아니더라도 지분을 장기 보유하는 국부펀드 등을 우선적으로 받아들일 것”이라면서 “사모펀드(PEF)라고 해서 무조건 배제하는 것은 아니고 조건이 유리하면 받아들이겠다.”고 말했다.
김민희기자 haru@seoul.co.kr
2010-12-13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