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통화기금(IMF)이 1일(현지시간) 한국의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종전 5.75%에서 2개월 만에 6.1%로 상향조정했다. 지난해 12월 발표 당시 4.5%로 올해 성장률을 예측했던 IMF는 지난 7월6일 5.75%로 수정한데 이어 이날 발표한 연례보고서에서 다시 0.35% 포인트 높였다. 내년 성장률은 4.5%로 기존 전망치를 그대로 유지했다.
IMF는 “한국 정부가 수행한 확장적 거시·금융정책과 무역 정상화 등이 경기회복을 이끌었다.”면서 고정투자 증가와 재고 확충을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조정한 배경으로 꼽았다. 금리인상 등 출구전략을 이행하는 것이 적절하다는 견해도 내놨다. IMF는 “현재 한국의 기준금리는 ‘경기 부양적’인 수준”이라고 평가한 뒤 자체 분석모델을 통한 컴퓨터 모의실험 결과를 인용, 정책금리 수준을 지금의 2.25%보다 2.0% 포인트 높은 연 4.25% 안팎으로 제시했다.
IMF는 한국의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3.0%로, 식료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인플레이션은 2.3%로 각각 예상하고 “경기회복과 자본유입에도 인플레이션 압력과 자산가격은 통제가능한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강국진기자 betulo@seoul.co.kr
IMF는 “한국 정부가 수행한 확장적 거시·금융정책과 무역 정상화 등이 경기회복을 이끌었다.”면서 고정투자 증가와 재고 확충을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조정한 배경으로 꼽았다. 금리인상 등 출구전략을 이행하는 것이 적절하다는 견해도 내놨다. IMF는 “현재 한국의 기준금리는 ‘경기 부양적’인 수준”이라고 평가한 뒤 자체 분석모델을 통한 컴퓨터 모의실험 결과를 인용, 정책금리 수준을 지금의 2.25%보다 2.0% 포인트 높은 연 4.25% 안팎으로 제시했다.
IMF는 한국의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3.0%로, 식료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인플레이션은 2.3%로 각각 예상하고 “경기회복과 자본유입에도 인플레이션 압력과 자산가격은 통제가능한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강국진기자 betulo@seoul.co.kr
2010-09-03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