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네이션 값이 기가 막혀…

카네이션 값이 기가 막혀…

입력 2010-05-08 00:00
수정 2010-05-08 00:2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한송이에 6000원… 열송이 바구니 5만~10만원… 중국산을 국산으로…

주부 이소영(32·서울 신림동)씨는 어버이날을 맞아 부모님께 드릴 카네이션을 사러 꽃가게를 찾았다가 깜짝 놀랐다. 카네이션 열 송이를 담은 바구니세트 가격이 웬만한 고급 선물과 맞먹는 5만~10만원이었기 때문. 잎이 많이 달린 카네이션 한 송이가 무려 6000원이었다. 이씨는 그만한 가격의 다른 선물을 사기로 하고 발길을 돌렸다.

이미지 확대
카네이션 가격이 치솟고 있다. 어버이날과 스승의날(15일)을 앞두고 수요가 급증한 데다 이상기온으로 공급이 달리기 때문이다. 가격에 부담을 느낀 일부 소비자들은 조화(造花)나 카네이션 모양의 액세서리로 대체하는 풍속도도 생겨났다.

7일 서울 양재동 화훼공판장 등 도매시장에서 판매하는 카네이션 도매가는 1속(20송이)에 1만 2000원 안팎으로 꽃집에 넘기는 소매가는 2만원 정도까지 가격이 껑충 뛰었다. 예년과 비교해 가격이 30~40% 올랐다. 시중 꽃집 판매가는 지난해 같은 기간에 견줘 40~50% 급등했다. 고급 품종은 송이당 최대 6000원에 달해 열 송이로 작은 꽃바구니 하나를 만들면 5만원을 훌쩍 넘는다. 지난 3~4월 잦은 비로 인한 일조량 부족과 기온 급강하로 인한 냉해 등 기상이변이 겹친 탓이다. 양재동 화훼공판장 관계자는 “국산에 비해 가격이 절반 정도인 중국산을 국산으로 속여 파는 사례도 심심찮게 나타나고 있다.”고 우려했다.

카네이션 가격 급등에는 ‘해외 로열티’도 한 원인으로 꼽힌다. 2002년 국제식물신품종보호연맹(UPOV) 가입에 따라 품종보호권이 설정된 작물은 로열티를 지급해야 한다. 카네이션은 국내 유통량의 80%가 외국산이다. 게다가 국산은 고급 품종이 드물어 로열티 지급액이 2004년 5억 4000만원에서 지난해 6억 2000만원으로 해마다 크게 늘고 있다.

정현용기자 junghy77@seoul.co.kr

2010-05-08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